한국에선 나이 묻는 것으로 위계질서(order of rank)를 정하거나 싸움을 건다(pick a fight). 서로 묻는(ask one another) 첫 질문 중 하나가 “몇 년생이세요(What year were you born)?”다.
나이 기준이 여럿이어서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complicate matters further). 예로부터 출생과 동시에 한 살로 여겨졌고(be considered one year old at birth), 생일과 상관없이(regardless of their birthday) 새해 첫날이 되면 모두 한 살을 더 먹게 됐다.
그런가 하면, 법률·행정 서류상으로는 만(滿) 나이를 1962년부터 적용해 왔고, 음주·흡연·병역과 관련해선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subtract the birth year from the current year) ‘달력 나이’로 계산했다. 그러다 보니 이리 저리 나이 따지는 관행이 생겨나면서 혼란이 가중됐다(be ripe for confusion). 1년 미만뿐 아니라 쌍둥이도 출생 시각 분·초(分·秒)로 서열을 가렸다.
오는 6월부터는 만 나이만 사용하도록 해 복잡하고 혼란스러웠던(be convoluted and confusing) 불확실성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외신들은 “한국인들이 모두 1~2세 어려지거나 젊어진다”면서 “하지만 나이를 기준으로 한 관계(age-based relationship)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규정하는(define people’s social interactions) 풍속은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도 그럴 것이 언어까지 반말(casual talk)과 존댓말(the honorific)로 위계구조를 반영하게(reflect hierarchical structures) 돼 있다. 게다가 다른 요소들(other factors)도 있다. 나이에다가 남녀 성, 경제·사회적 지위, 직장 선후배 관계 등도 감안해야(take into account gender, socio-economic status, workplace seniority and the like) 한다. 힘과 연대감의 균형에 따라(according to the balance of power and solidarity) 순간적으로 언어 선택을 달리 해야(instantaneously differentiate linguistic choices) 할 때도 있다.
나이가 더 많은 사람에게 말을 놓았다가는(informally address someone older) 문제가 생긴다. 연장자에게 제대로 예우를 하지(show proper respect to elders) 않아 다툼이나 폭력으로 이어지는(result in conflict or violence)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happen from time to time). 인도의 영문 매체 ‘FRONTLINE’은 “한국에선 심지어 반말을 둘러싸고 살인을 저지르는(commit murder) 사건이 일어나기도 한다”고 전했다.
‘나이 드는(grow old) 것은 강제적이지만(be mandatory), 철이 드는(grow up) 것은 선택적이다(be optional).’ – 월트 디즈니(미국 기업인)
‘나이 드는 것은 산을 오르는(climb a mountain) 것과 같다. 숨은 좀 가빠지지만(get a little out of breath), 경관은 훨씬 더 좋아진다(get much better)’ – 잉그리드 버그만(미국 배우)